MBR에 의한 수질 및 슬러지 관리의 다양성
- 전문가 제언
-
○ MBR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개발 내용은 막 소재, 엘리먼트 및 유닛, 막 폐쇄와 파울링, 막 세정법, 생물처리/막 처리방법의 조합, 전처리 및 모델화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논문수로는 막 파울링에 관한 것이 최다이며, MBR의 현장 적용사례나 코스트 및 에너지 사용량 등 보다 실용적인 주제가 많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공간 절약이나 에너지 절약과 저코스트를 목표로 새로운 MBR이 일본에서 개발, 실증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에너지 절약형 MBR 구축을 위한 통합 막오염 모델 개발(2014/호서대), 에어블로우 MBR 및 인 제거용 유무기 복합입상흡착제 하이브리드 공법 실증화(2014/웰크론한텍), 고도 MBR을 이용한 자원순환(2014/명지대), 후탈질 반응을 이용한 집약적 MBR 하폐수처리기술 개발(2014/지우이앤이) 등이 관련 기반기술 및 응용기술 확보를 위해 추진 중이다.
○ 두산중공업은 대구국가산단 내에 “대구 수처리센터”를 건립하여 물산업 관련 연구시설 등의 기반을 마련하고 독자적인 수처리 기술인 “에너지절약형 MBR(LENA MBR)”를 북부하수처리장에 설치하여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건설은 독자 개발한 HDF공법과 국산 분리막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형 DF-MBR공법 등의 신기술을 통해 향후의 수질 강화 및 재이용 확대정책에 대비 가능한 초고도/저에너지 수처리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한편 MBR 관련 기초설계 미비로 인해 2011년 가동 후 4년 만에 애물단지가 된 인천 검단의 1단계 폐수처리장의 사례는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향후 MBR의 기능 향상과 도입 촉진을 위해서는 막파울링의 메커니즘 해명이나 억제 방법의 최적화, 설계 및 운전방법의 최적화, 피크 플럭스의 명확화, 합류식 하수도에 대한 적용 방법 및 설계와 운전관리 방법의 표준화 등 시장과 용도 확대를 위한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 현재의 MBR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과제를 근거로 한 기술개발 항목으로는 새로운 막 엘리먼트/유닛의 개발과 실증을 포함한 에너지 절약화 및 저비용화, 합류식 하수도에의 적용을 포함시킨 적용 대상 확대 등이 중요하다.
- 저자
- Kazuo YAM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78(12)
- 잡지명
- 化學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77~881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