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 기기관리 서비스 M2M플랫폼

전문가 제언

M2M은 통신의 주체는 Machine 중심으로 표현한 것이라면 IoT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사물이 속해 있는 환경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M2M(Machine-to-Machine)은 인간의 개입이나 조정 없이 서비스 및 통신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출현한 기술로 표현하고 있다. ETSI에서는 M2M의 적용 분야를 수송, 에너지, e-헬스 분야 등 다수 분야에 적합한 수평적 구조의 표준을 제안하고 있으며 기기관리 측면에 적합한 OMA 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ETSI-M2M 플랫폼과의 연결 관계를 기술하고 있다.

 

M2M의 개념에서 비즈니스 응용프로그램은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기기 간의 방향 정보를 교환하며 기기나 응용프로그램은 OMA DM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호작용한다. M2M의 응용프로그램의 활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몇 가지 단점과 결함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OMA DM 프로토콜의 세부기능을 검토하여 보면 프로토콜이 포함하고 있는 기능 즉, 서버와 기기간의 통보기능, 초기화기능, 기기의 응답기능, 서버의 관리 조작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실제 적용 시 프로토콜에 담겨 있는 콘텐츠 처리시간 예측이 어려워 콘텐츠 간의 time out 설정이 어렵고, 관리보안을 위한 확장 인증 프레임워크를 채택하고 있지만 인증과 권한부여에 대한 새로운 보안 프로토콜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보완대책이 실제 적용 시 수반되어야 한다.

 

시장 전망에 있어서 M2M의 산업 전망은 IoT 산업 전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 2020 connected devices overview에 의하면 국내 M2M 접속은 ‘2020년까지 총 1600만대 정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M2M 산업 중 CE, 지능빌딩, 유틸리티, 자동화, 헬스케어 5개 분야가 가장 크게 성장하여 연결디바이스 기준으로 2020년에는 전체시장의 9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기 M2M 기반산업을 위한 구현기술, 보안인증 기술개발, 기기관리 프로토콜의 취약성 대응 기술개발 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요구된다.

 

저자
M. Meddeb, M. Ben Alaya, T. Monteil, A. Dhraief and K. Drir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32()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063~1070
분석자
조*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