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과 강의 냉간 단조 접착성형에 대한 일차 열처리의 영향

전문가 제언

냉간 단조는 고 강도 단일 재질 부품을 만들 수 있다. 그것이 접합기술로 사용되면 다중 재료 제품설계로 확대될 수 있다. 냉간 단조공정 중 부품 사이의 계면에서 접촉조건이 결정적 역할을 한다. 강과 알루미늄의 두 빌렛 접합이 재료분배와 두 재료의 일차 열처리효과에 관해 유한요소 분석법에 의해서 조사되었다.

 

이들 파라미터가 알루미늄과 거의 냉간 용접성이 없는 강사이의 정상적인 접착성형을 위한 결정적 파라미터인 표면 확장과 접촉 수직응력에 영향을 준다. 실험 결과는 접착성형에 대한 일차 열처리 효과를 제시한다. 접착성형의 현미경분석은 접합 메커니즘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주고 냉간 단조에 의한 냉간 용접을 위한 공정설계의 지침을 준다.

 

냉간 압출에 의한 압력 용접은 다른 재료의 개개 부품의 좋은 속성의 조합이기 때문에 흥미롭다. Hw Wagner 등은 냉간 압출 공정으로 고 강도와 고 표면 품질의 다른 부식 저항을 갖는 두 가지 재료로된 제품을 제작하였다. 상용 순 티타늄 Ti 99.9와 알루미늄 합금AlMgSi1이 전방 튜브 압출과 후방 컵 압출로 제작되었다.

 

냉간 단조에 추가해서 온간단조는 두 변형 가능한 부품의 유동응력을 균등화 할 수 있다. 하지만 고온에서 강의 성형은 표면 근처 영역의 산화를 증가시킨다. 커버 층으로 작용하는 이 산화물이 용접 계면에서 발견된다. 설정된 조사에서 대규모 금속간 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추출 시험은 건전한 접착이 고온 성형에서도 확립될 수 있는 것을 나타냈다.

 

탄소강,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합금 간의 냉간 단조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경량재료를 갖는 고강도재료의 다중재료부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많은 응용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저자
Peter Groche,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214()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040~2048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