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의 열섬효과와 이로 인한 기온변화

전문가 제언

산업혁명이 시작된 1850년 이래 지구의 기온은 전지구 평균 0.85상승하였다. 불과 200년도 되지 않은 기간에 지구의 평균기온이 이렇게 상승한 것은 전대미문의 대 사건이다. 특히 우리나라 서울은 대도시로 같은 기간 평균 1.85상승하였다. 이중에서 60%는 도시의 열섬효과에 의한 영향이다.

 

우리나라 서울은 인구 천만 명 이상이 상주하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은 12.2, 평균풍속은 2.4ms-1 연평균 습도는 67% 그리고 연 강수량은 1,344mm로 여름철은 덥고 습하여 이 기간에 연평균강수의 대부분이 집중된다. 겨울철에는 한랭하고 건조한 날씨가 많이 나타난다. 이러한 기후구조로 볼 때 서울의 기온상승은 본 연구의 아테네와 유시한 면이 있다.

 

도시열섬현상에 의한 기온의 증가와 대기오염의 고 농도 현상은 세계적인 기상현상으로 해결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도시기상 문제로 인정되고 있다. 미국은 2002년부터 미국과학재단과 미국기상청이 주관하여 열섬문제 등 도시기상 과제를 국가적인 기후연구과제로 기획하고 있다.

 

한편 도시열섬현상이 지구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증가하고 있어 지역기후모델(RCM)의 개발에 도시효과를 포함하고 있다. 또 국지적 호우현상도 도시열섬의 기온증가의 영향으로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미국 등 선진국은 도시지역의 단시간 강수 예측을 위하여 상세 격자화된 도시기상 관측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도시 열섬 효과와 바람 구조를 도시 생태계와 국지적 기상 변화에 미치는 원인으로 보고 도시의 지표 구조 변화에 따른 현상을 관측하고 실험 모의하는 연구사업으로 도시기상연구를 기상청 주관으로 실행하고 있다. 고층 건물 등 도시 공간의 거칠기에 의해 서울의 바람은 교외의 바람 보다 약 3040% 정도 감소되었다. 기상청의 기상 정보를 서울 등 도시의 세분화된 기상정보로 활용하고자 상세관측시스템 구축과 도시열섬 등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저자
D. Founda a, F. Pierros, M. Petrakis, C. Zerefo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61()
잡지명
Atmospheric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3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