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용접변형 방지법
- 전문가 제언
-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예, SM400)는 조선해양구조물 및 교량의 건조 시에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인데, 이 강재는 용접시공 시에 용접변형이 종종 발생되어 국내 조선해양업계에서는 현재 이에 대한 해결책에 부심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본 자료에서는 판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압연강재(SM400)를 대상으로 필릿용접 중에 발생하는 각변형을 저감시키기 위한 용접기술을 제공하였으므로, 향후 특히 조선해양업계에서 용접시공 시에 큰 도움을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용접변형은 구조물의 미관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잔류응력으로 구조물의 강도를 저하시키므로 이를 방지 및 교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러한 용접변형은 강구조물 제작 시 다양한 용접부 형상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된다. 이것은 강구조물을 설계치수를 변화시키거나, 절단 또는 교정과 같은 생산공정에 불필요한 작업을 유발시켜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국내 용접관련 기업체에서는 강구조물의 제작시 각변형과 같은 용접변형을 예측하여 설계단계에서 마진을 주거나 용접변형의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국내 용접관련 기업체에서는 용접변형을 체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형상과 작업조건에 따라 변형방지대책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교정방법을 적용할 것인가를 계획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용접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변형을 구속하는 경우 용접부에 균열이 발생됨으로 주의해야 한다.
○ 용접시공 시에 각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설계상의 대책으로 용접부 저감, 이음부 위치 및 형상변경, 구조변경, 형상에 의한 강성 증대를 고려해야 하고, 용접시공상의 대책으로 용접 입열량의 저감, 용접법의 변경, 용접순서, 적층법의 변경, 치공구의 사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역변형법을 적용하는 방법도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 프로세스 이면 가열법에 의한 필릿용접부의 각변형 방지법의 현장 적용에 관한 검토도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OTANI Yuk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32(3)
- 잡지명
- 溶接學會論文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8~155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