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조형법
- 전문가 제언
-
○ 주물을 만드는 조형법으로 사형주조법은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왔던 방법으로 근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에 공급하여온 주물의 양산법으로 공업적으로 많은 발전을 하여 왔다.
○ 물에 의하여 팽윤하여 점결력을 발휘하는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한 점토광물이 천연으로 함유된 자연사로부터 몬모릴로나이트의 함유율이 높은 광물인 벤토나이트를 순도가 높은 규사에 첨가하는 시스템사로 발전한 것이 생형조형법이다.
○ 사형주형법의 일종인 유기자 경성주형법은 푸란자 경성주형법과 알카리 페놀자 경성주형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 유기자 경성주형은 수지점결제를 경화반응에 의하여 주형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들 조형법의 설비는 동일하다
○ 생형조형법에 있어서 조형기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주형반송을 위한 조형라인, 사처리시스템 등을 포함한 시스템 전체의 고정도화를 위한 성능확보가 필요하다.
○ 현재 우리나라 주물공장에서는 자동조형기에 의한 생형조형법과 유기점결제인 자경성주조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품질이 우수한 주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주물사의 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다.
- 저자
- Kunihiro Hashimo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86(10)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98~803
- 분석자
- 최*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