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차 유기에어로졸의 생성과정연구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2차 유기에어로졸은 1차 유기에어로졸이 산화하면서 핵심 중간체(intermediates)를 생성하는 이들의 연속적인 대기화학 반응에 따라 형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일부 연구에 의하면 2차 유기에어로졸은 전체 PM2.5 질량의 30%, 전체 입자상 유기물의 85%를 차지하고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런데 대기 중 오염물질 가운데 황산에어로졸은 산화하면서 낮은 NOx 농도에서도 이소프렌 2차 유기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2차 유기에어로졸의 화학적 생성메커니즘은 밝혀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질량분석법의 발달로 질량분광기술을 이용해서 이소프렌이 산화하여 생긴 에폭시디올을 황산 에어로졸이 흡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연속적인 입자상 반응이 2차 유기에어로졸 생성과 관련 있음이 입증된 것이다.

 

또한 NOx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이소프렌 2차 유기에어로졸이 1차 산화물인 메타크롤레인에서 유래되고 이어서 이차 산화물이 생성됨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2차 유기전구체에 대한 모델링 결과는 실제 대기측정치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1차 및 2차 유기 에어로졸들의 다양한 화학반응으로 다종다양한 물질들이 생성되기 때문으로 현재 점진적인 연구 진전에 따라 차이를 좁혀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대기 화학자들의 연구 성과에 따라 복잡다기한 2차 유기에어로졸에 대한 기전이 밝혀지고 있는데, 여기엔 질량분석계의 놀라운 발전이 일조하고 있어 이러한 양자이동반응 질량분석법 등 하드웨어에 대한 개선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저자
Jun HIROKAWA, Satoshi INOMATA, Kenshi TAKAHASHI, Yosuke SAKAMOTO, Hiroshi TANIMOTO, Kanako SEKI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26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