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저주파수 진동 교정를 위한 긴 스트로크의 전자기적 가진기
- 전문가 제언
-
○ 큰 건물과 대형 인공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는 흔히 0.1 Hz와 10 Hz 사이 주파수 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진동 관련 연구가 이 주파수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 달리 0.1 Hz 이하 극저주파수(혹은 초저주파수) 진동은 인공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지진과 같은 대형 자연 현상에 의해서 발생한다.
○ 따라서 극저주파수 진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지진이 잦은 일본, 중국, 미국 등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도 지진에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많이 제기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우리나라는 아직도 이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 지진 센서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는 진동자에 대한 현가 장치 이다. 수평 진동은 큰 피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특히 정확한 측정과 예측이 필요하다. 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수평 측정기들은 기계적 현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극저주파수 진동 측정에 전자-점탄성 현가장치를 바탕으로 하는 전자기식 진동 센서(혹은 교정용 가진기)를 사용하는 이 논문의 시도는 비교적 참신하다고 생각한다.
○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긴 스트로크 교정용 가진기는 사실 측정표준을 전담하는 국가표준기관에 필요한 것이다. 이 주파수 범위 진동에 대한 산업계 관심은 미미하기 때문에 상품화 된 모델도 많지 않다. 따라서 미국과 일본 등 국가의 표준기관들은 중국 국가측정연구소(NMI) 사례에서 보듯이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설계?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 우리나라 측정표준의 정점기관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시 한때 극저주파수 진동 교정 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국가적 관심이 미미하고 의미 있는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되어 중단하였다. 이제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지적과 함께 그 대책을 요구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표준과학연구원도 이러한 변화의 추세를 면밀히 분석하여 그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Wen H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4
- 권(호)
- 25()
- 잡지명
-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08590101~08590106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