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키스탄의 태양광 발전

전문가 제언

파키스탄에서 에너지 안보를 위해 정부의 정책으로 솔라 에너지를 본격 도입하고자하는 제3 세계 국가들이 보여주는 노력의 일환을 나타내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말할 때 항상 수식어로 따라 붇는 말이 재생에너지 자원은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활용하는 것은 국가의 정책이 강력한 시동으로 리드하면서 보조금과 세제 혜택 및 기존의 화석 에너지를 사용할 때보다 더 안락하고 좋다는 인식이 일반 국민 속으로 먹혀들어야한다.

 

파키스탄의 솔라 에너지를 도입하는 초반에는 일본의 Kyocera 같은 일본 기술과 이웃하는 중국과 인도의 자본과 기술이 많이 진출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3 세계 국가들에 대한 원조는 각 나라들이 다투어 진출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태양에너지 분야는 초기 일본 기술이 우위를 보였으나, 차츰 중국 쪽으로 넘어가는 양상이고 이런 와중에 우리나라도 대외원조의 인적 재정적 지원을 많이 늘려가면서 한화 같은 전문 기업이 진출하는 기회도 있으리라.

 

파키스탄과 인접하고 있는 중국은 2008년 이래 태양전지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회사는 Suntec와 JA Solar인데 작년 최대 수요시장인 유럽의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태양전지 시장 전망이 공급과잉으로 태양전지 가격이 폭락하였다. 그러나 올해 들어 태양전지 시장은 서서히 회복되어가며 늘어나는 수요에 맞추어 나가리라고 전망하고 있다.

 

국내는 최근 한화그룹이 미국 에너지 기업 넥스트에라(NextEra)에 태양광 모듈 1.5GW를 수출하는 대형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되었다. 이는 국내 태양광 기업이 성사시킨 단일 공급계약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이다. 한화큐셀 측은 차별화된 기술과 원가 경쟁력을 앞세워 미국 태양광 시장을 본격 개척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 시장 수요에 맞춰 국내외에 1GW급 태양전지 공장과 250㎿급 모듈 공장을 새로 건설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외에도 포스텍과 인천대가 전환효율 상승 보고도 있다.

저자
Hadeed Ahmed Sh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7()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3~217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