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기술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기술은 치수정도가 높고 표면이 미려하고 복잡한 형상을 near net shape로 성형이 가능하며 생산속도가 다른 주조법에 비하여 빠르고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다이캐스팅제품은 자동차를 비롯한 많은 공업제품의 구성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자동차는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합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압연재, 단조, 주조를 포함한 제조법 중에서 다이캐스팅제품이 54%를 점유하고 있다.

 

고속고압에서 용탕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주조설비(다이캐스팅기 및 금형)가 필요하다. 한편 고속고압 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어 이것이 다이캐스팅의 기술과제로 되어 있다.

 

고속고압 사출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이캐스팅의 품질상의 최대 과제는 고속사출에 의한 가스혼입이다. 혼입되는 가스조성은 공기성분의 질소가스, 이형제 성분이나 수분, 윤활제와 용탕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수소가스, 탄산가스 등이다.

 

가스는 주물표면 결함도 발생한다. 가스가 배출되는 용탕과 금형이 밀착 전사하는 것을 방해하여 탕회 불량이나 탕류의 합류부에 가스가 혼입하여 용탕의 융합을 저해하여 발생하는 탕경 불량 등이 있다.

 

다음으로 커다란 과제는 소착이다. 알루미늄합금이 금형에 소착하여 금형 표면상에 남아 있는 현상을 소착이라고 하며, 다이캐스팅에서 금형소착은 2가지의 현상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금형과 알루미늄합금의 합금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착이며, 다른 하나는 합금반응을 수반하지 않은 알루미늄합금이 금형에 붙는 소착이다.

 

다이캐스팅은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으나 또한 문제점도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산학연 공동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 자동차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저자
Shunzo Ao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86(11)
잡지명
鑄造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75~882
분석자
최*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