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ecC유전자를 지닌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출현

전문가 제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은 베타-락탐계 항생제를 포함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다 약제 내성균이다. 오늘날 전 세계에 널리 확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의 병원에서 70% 이상 높게 분리되고 있어 공중보건학 측면에서 큰 관심을 두고 있다.

 

2011년 mecC 유전자를 가진 MRSA가 처음 영국에서 발견되었다. 그 후 덴마크 등 유럽지역으로 확산하여 현재 mecC MRSA는 13개 유럽 국가에서 14개 다른 숙주로부터 분리되고 있으며, 특히 덴마크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아직은 mecC MRSA 발생에 대한 연구보고는 없다. 또한, mecC 유전자의 실험실 진단은 mecA와 상동성이 있어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MSSA)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 환자치료와 MRSA 검사에 중요한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CLSI(2007)가 권장하는 메티실린 내성균 검출방법에는 옥살실린 내성 선별법과 mecA로 인한 내성균주 예측을 위한 디스크 확산법이 있다. 디스크 법에는 메티실린이 불안정하므로 옥살실린을 사용하게 되었고, 옥살실린을 사용한 디스크 확산법이나 한천 선별법으로는 헤테로(hetero) 내성인 MRSA를 검출하기 어렵다. 세포시틴(Cefoxitin)은 mecA 조절계통의 유도능이 옥살실린 보다 강하므로 세포시틴 디스크 법이 mecA양성균주를 검출하는데 더 정확하다.

 

병원 내 MRSA는 다 약제 내성으로 지역사회 MRSA와 항생제 감수성이 현저히 달라 항생제 내성 획득 방법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mecC MRSA의 첫 출현은 가축이었지만 MRSA환자에서도 mecC 유전자가 확인되고 있어 그 전파경로가 흥미로우며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대두함으로 좀 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Gavin K. Paterson, Ewan M. Harrison, and Mark A. Holm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2(1)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2~4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