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질환 치료약품으로 기대되는 히스톤 아세틸화 전달효소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저해제
- 전문가 제언
-
○ 리신 아세틸화는 NF-KB(F(Nuclear Factor kappa B) 경로 활성화수준과 함께 번역후변경 역할을 하여 각광받게 되었다. 리신 아세틸화는 HAT(Histone AcetylTransferase)와 HDAC(Histone DeAcetylase)로 통제된다. 질병에서 뚜렷한 이상을 나타내는 HAT와 HDAC 활성 식별은 중요한 도전이 된다. HAT와 HDAC의 작은 분자 조절인자는 항염증 약품개발에 큰 잠재력이 있다.
○ NF-KB 경로조절로 특정 HAT나 HADS가 선택적인 표적이 되는 분자를 개발할 수 있다. 몇 저해제는 개발전망이 밝으며 세포체계와 동물 질병 모델에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HAT 저해제 C646은 NF-KB, 안드로겐 수용체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수용체 연결경로를, MG149는 NF-KB와 p53 경로를 저해한다.
○ HDAC 저해제 기비노스타트는 청소년 특발성관절염에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세포를 쓰면 결과가 달라져서 HDAC 저해제 선택성에 따라 치료효과도 다르다. SIRT 형 HDAC는 주로 NF-KB 전사발현을 저해하여 염증성반응 억제효과가 있다. HDAC와 HAT가 아세틸화로 간섭되는 효소를 저해할 수 있는 화합물은 히스톤 아세틸화용 약품으로 쓰일 수 있게 될 것이다.
○ HAT와 HDAC의 여러 가지 저해제가 전임상 또는 임상 단계에 있으며 새로운 약품 표적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화학적 방법과 분별도구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히스톤 아세틸화 조절로 새 치료 접근법 개발, 구조적?기계적으로 새로운 탈아세틸화 효소 탐침 연구 및 선택적인 HDAC 저해제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연구소를 비롯하여 대학과 기업체 연구소 등에서 HAT와 HADC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염증성치매 제어 기제연구 등의 연구와 같은 관련 논문도 많이 발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립선암을 비롯한 인간 암종 치료약품, 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약품 등 대한 연구가 있다.
- 저자
- Frank J. Dekker, Thea van den Bosch and Nathaniel I. Marti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9(5)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54~660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