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사육조류의 예방접종

전문가 제언

20141월에 전북고창에서 조류독감이 발생하였을 때 약1천만 마리 이상의 닭과 오리가 살 처분되었. 이중에는 감염된 조류도 있고, 또한 감염되지 않은 건강한 가금도 들어있었다. 이것은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근절하기 위한 조치이나 경제적인 면과 환경오염의 측면에서 매우 비생산적 방법이라 아니할 수 없다.

 

조류독감(Avian influenza virus ; AIV)은 고병원성(highly pathogenic; HP)과 저병원성(Low pathogenic; LP) AIV, HPAIVLPAIV가 있고, AIV의 표면에 있는 Hemagglutinin(HA; 15)Neuraminidase(NA; 9)의 두 단백질의 구성에 따라 다시 아형(subtype)으로 구분되며, H5N1HA5NA1 단백질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312월에 처음 발생하였고, 2014년까지 2~3년 주기로 반복하여 발생하였다. 바이러스 균주는 H5N1 HPAIV로 전신성 감염을 일으키고, 가금류(, 칠면조 및 메추라기)에서 신속하고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가금류에 대해서는 고병원성인 바이러스가 야생이나 사육 수생조류에서 보통 사망을 일으키지 않는다. H5N1 HPAIV의 몇몇 균주는 발병시키고 사망을 일으킨다.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닭과 칠면조의 백신 접종이 H5(HPLP), H7(HPLP) H9(LP)AIV에 대해 가장 보편적이고, 가금류에 사용되는 전체 AIV 백신의 99%를 차이나, 인도네시아, 베트남 및 이집트의 4개국이 차지하였다.

 

예방접종으로 AIV 통제계획을 세울 때는 예방접종의 목표, 접종할 개체군, 생물보안(biosecurity) 등등의 여러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접종 방법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법은 모두 장단점을 가지므로 현장 상황에 맞추어서 올바른 선택을 하여야 한다.

 

국내 연구 상황은 미미하나, 서울대 농대에서 오리에 H5N1 바이러스가 감염됐을 때 작용하는 면역 메커니즘을 밝혔다. 앞으로 가금류를 위한 백신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Erica Spackman, Mary J. Pantin-Jackwoo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202()
잡지명
Veterina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08~415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