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농약사용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 선행연구검토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평균기온 1.8℃ 상승(세계평균 0.74℃), 강우가 19% 증가하였고 2050년에 3.2℃ 상승(세계평균 2.3℃)을 예측하고 있다. 평균기온이 1℃ 상승하면 작물재배한계선은 81km 북상하고 고도는 154m 상승한다.

 

2020년 기온이 현재보다 2℃ 상승하면 세계 곡물생산량은 수요량보다 (쌀 11%, 옥수수 9%, 콩 5%) 부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랭지배추 재배면적이 급감하고(2010년 1,330ha→2020년 688ha→2050년 93ha) 배, 포도 등 온대성작물도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어 품종개량 등 여러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농약은 인류가 발명한 가장 유해한 물질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사용을 제한하는 POPs의 50%가 농약이다. 기온상승으로 많은 농약의 사용과 휘발이 증가되고 강우가 증가하여 곡물과 환경매체(대기, 토양과 수계)에 잔류농약이 증가하여 인체와 생태계를 더욱 위협하고 있다.

 

본문은 농약사용에 영향을 주는 기후변화의 직간접요인(농약효용성, 작물특성, 병해충, 법규정, 경제정세, 기술발전)의 변화와 최종소비자의 노출영향에 중점을 두고 선행연구들을 상세하게 검토 분석한 것이다.

 

작물수율 향상을 위하여 농약사용 최소화, 영농투입 재사용(비료, 관개용수 등) 등 선진국이 시행하는 종합병해충관리(IPM)가 기후변화로 도전을 받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예방적 경종기술, 병해충 모니터링, 기상정보, 생물방제와 친환경농약 개발 등으로 농약과 비료사용을 저감하였고 ICT, BT, NT 융복합지능형 미래농업기술도 상당 수준 진척되었다.

 

우리는 OECD 국가 중에서 농약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10.7kg/ha, 2012) 온실가스배출(6.98억 톤, 2013)도 세계8위, 기온상승도 세계평균의 2배나 되므로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ICT, BT, NT 융복합지능형 차세대 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과 인재양성을 위한 많은 투자가 절실하다.

 

저자
Ilse Delcour, Pieter Spanoghe, Mieke Uyttendael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68()
잡지명
Food Research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15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