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0년간 캘리포니아 Central계곡 안개조성의 변화패턴

전문가 제언

안개는 생태계에 수분과 양분을 공급하지만 가시거리를 단축시켜 교퉁 사고를 유발하며(치사율: 눈, 비의 2~3배), SO , NH3, NOx, VOCs에 의한 산성안개는 산성비보다 10배 이상 부식이 강하고, 삼림과 호소의 생물을 고사시키며 생성되는 2차 에어로졸은 호흡기질환과 폐질환을 유발하고 복사광을 흡수 산란시켜 기후변화에 영향을 준다.

 

1996~2005년간 한반도의 안개 발생은 평균 30.1일/년, 평균지속시간은 7.2~6.0시간, 5~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대체로 내륙은 복사무, 해안은 이류무이였으며 서해안은 같은 위도의 동해안보다 약 3배나 많이 발생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안개 발생일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지만 대관령, 추풍령 및 댐 부근 내륙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신갈부근 안개의 평균 pH값은 4.4~6.4로 대부분 산성이며 조성은 SO >NO >Cl 와 NH > Ca > Na >Mg >K 로 조사하고 있으나, 유기성분과 2차 에어로졸생성 및 산업체, 자동차, 비료, 농약 및 장거리 유입되는 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안개는 지표 부근에서 형성되므로 레이더로 실시간 수적탐지가 어렵고 주로 야간에 형성되는 안개의 가시영상을 볼 수 없으며, 국지적 지형, 기상과 대기오염물에 많은 영향을 받고 시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변하므로 시간강도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안개(5~40㎛)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성장과 증발이 공존하므로 수치모델로 예측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원문은 미국 캘리포니아 Central계곡의 지난 30년간 안개 조성변화를 분석한 것으로, pH(2.5~5.5)→pH(6.5~7.2), SO 는 많이 감소되었으나 NO 감소는 적었고, TOC는 50~100→ ~30㎎/L, LWC는 0.1~0.2→0.05~0.1g/㎥, 농무(시정 400m) 50% 감소한 변화원인을 분석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GDP의 10%가 직접 기상영향을 받으므로 기상정보의 활용은 재해예방 수단을 넘어 모든 산업분야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웨비게이션 정보는 교통안전 등 생활에 유익을 주고 있다. 전국적 안개 특보제의 시행을 기대한다.

 

저자
P. Herckes, A.R. Marcotte, Y. Wang, J.L. Collett J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1()
잡지명
Atmospheric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30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