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너지 산업을 위한 해조류 생물자원의 잠재성 평가: 재검토

전문가 제언

최근 국제적으로 해조류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해조류는 영양성분이 풍부해 웰빙 식품으로도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크고, 해조류 추출물은 생물자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원료로도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탄산가스 흡수 및 산소공급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탄소절감 문제에도 기여한다.

 

최근, 해조류는 식량위기 및 탄소절감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고, 열대우림과 비교한 결과 약 2배 이상의 탄산가스 흡수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다시마는 지구상에서 광합성을 하는 생물 중에서 가장 높은 1차 생산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및 유럽연합의 경우 1980년대 폐기물의 단순 처리목적으로 소규모 매립장을 다수 설치하였으나 메탄가스방출의 의한 지구 온난화 등의 문제가 심각하여 1990년대에는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지가스를 회수하여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공정을 상용화 하였으며, 대규모 매립장을 대상으로 주로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였다.

 

한국의 경우 바이오에너지 현황과 미래 바이오에너지에 관한 연구는 한국생산기술 연구원에서 지구온난화의 위험수위가 극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2025년까지 안정적인 바이오에너지 확보를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2007년을 기점으로 2020년까지의 13년에 걸친 3단계전략을 수행 중이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의 1단계과정에서는 해조류 대량양산에 적합한 국내외 재배지와 바이오연료 원천기술 확보에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국내 바이오에너지 산업의 발전방향을 보면, 바이오에너지 도입에 따른 사회적 가치인식이 필요하고, 바이오에너지를 도입하면서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감소라는 직접적인 이익 이외에 사회적 가치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국가적으로 얻게 되는 사회적 이익은 농가소득 증대, 온실가스 저감, 대기오염 감소 및 에너지안보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시장가격만을 고려치 않는 경제성 판단이 돼야 할 것이다.

저자
Kifayat Ullah,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43()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14~423
분석자
정*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