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 펩타이드 고함유 간장의 항고혈압 작용
- 전문가 제언
-
○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순환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고혈압은 혈압의 조절과 항상성을 유지하는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ACE 활성을 저해하는 식품단백질로는 대두, zein, casein, 가자미, 오징어, 참치, 멸치, 젤라틴 등에서 다수의 ACE 저해 펩티드가 보고되었다. 1mg당 30~80%의 높은 ACE 억제활성을 보인 국내 식물도 털여뀌, 결명자, 금불초, 머루 등 34종이 보고되었다.
○ 된장, 청국장에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ase라는 효소가 ACE에 강력한 저해활성을 가진 peptide가 분획되었다(신재익 등, 1995). 정어리단백질 유래 디펩티드인 Valyl-tyrosine은 경·중 고혈압 환자에 대해 강압효과를 나타내어 우리나라 제1호 개별 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았다.
○ 본문에서 간장의 양조 시 대두의 배합비율을 증가(5배량, 팽화처리 대두)로서 간장 덧 중 펩티다제 활성을 조정하여 ACE 저해 펩티드 함량을 증가시킨 대두발효조미액(FSS)을 개발 사례를 소개하였다. FSS에 함유된 ACE 저해 펩티드의 분리 동정·정량 및 고혈압에 대한 유효성 시험 결과, 고혈압 자연 발증 렛트에 혼합식이 연속투여시험에서 유의하게 혈압상승을 억제하였고, 임상시험에서도 유의한 혈압강하 작용이 확인되었다.
○ 국내에서도 간장으로부터 ACE 활성 저해물질 생성 균주의 분리 동정(차명화 등, 2001),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항고혈압성 펩티드 화합물 연구(권선진, 2003), 된장으로부터 기능성 균주의 분리 및 고기능성 된장의 제조(김해영, 2012), 오징어간 액젓으로부터 분리된 ACE 저해 Peptide의 특성(박영범, 2010), 국내 새우젓에서 분리한 L. brevis HLJ59의 ACE 저해활성(전준표 등 2010) 등 많은 연구가 있다.
○ 고혈압 예방을 위해 나트륨 줄이기 운동에서 간장, 된장, 젓갈 등 전통발효식품을 고 나트륨 섭취의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으나, 오히려 ACE 저해활성을 가진 펩티드를 많이 함유함으로 항고혈압 식품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분리 동정 동물실험에 그쳐 임상시험으로 확실한 증거를 내놓지 못한 탓일 수 있다. 과학적 근거자료로써 전통발효식품의 항고혈압 효과가 명백하게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Takeharu Nakahar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41(1)
- 잡지명
- 醬油の硏究と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5~71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