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부품 금형 가공용 5축가공기 개발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5축 가공은 3축 가공에 비해 효율이 좋고 가공성이 좋다고 평가되고 있으며, 렌즈, 프로펠러, 임펠러, 블레이드 등과 같은 광학기기부품 및 항공기 부품의 금형 가공에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학기계 특히 디지털 카메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렌즈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 금형을 가공하는 초정밀 5축가공기를 개발하고 이를 평가한 결과 보고서이다.
○ 지금까지 초정밀가공은 픽업 렌즈, 카메라 렌즈, 콘택트렌즈 등 지름 100mm이하의 축 대칭 비구면 형상의 금형가공이 중심이었다. 이번에 개발한 초정밀 5축가공기는 레이저 빔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f-θ 렌즈 등 축 대칭 형상에는 없는 자유 곡면 형상의 금형가공에 적합한 가공기이다. 현재의 초정밀 가공은 에너지 절감 촉진 및 사용하는 광선의 단파장화에 의해서 지금까지 이상의 형상정밀도 및 표면 거칠기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하이비전의 영상을 고밀도로 기록하는 Blu-Ray의 픽업 렌즈 금형은 형상정밀도 0.1㎛이하, 표면 거칠기 2nm가 요구된다.
○ 최근의 공작기계전시회와 금형전시회를 보면 세계 공작기계 가공 시장은 초정밀 5축가공기 중심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TV, 냉장고 등 가전제품이 사출 성형으로 생산되고 있는데 제조회사에서는 금형 제작을 가능하면 방전가공이 아닌 5축 가공방식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자동차 프레스 금형에 5축가공이 적용되고 있지 않지만, 유럽 시장은 지금 5축가공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공작기계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공작기계로 만들어진 금형을 통해 모든 제품이 만들어 지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CNC선반이나 머시닝센터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초정밀 가공기를 포함한 5축가공기 등으로 다변화 할 필요성이 있다. 대만, 중국의 경우도 유럽 기술의 영향을 받아 5축가공이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앞으로 중대형 초정밀 5축 공작계로 시장이 급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사료되는 바이다.
- 저자
- Tomohiro Hiros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80(10)
- 잡지명
- 精密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44~949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