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디지털 콘텐츠 보호기술

전문가 제언

이 특허의 핵심은 디지털 권한관리 콤포넨트 내의 지속적인 보호 기능을 통해 잠재적으로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 보호 콘텐츠가 노출되는 운용을 예방할 수 있어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응용 콤포넨트를 이용하여 제한 없는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함으로써 콘텐츠의 잠금 기능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도 있어 상용화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특허기술은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 및 표절 등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유통→배포→재생→폐기로 이어지는 라이프 사이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모두에게 유익한 DRM 문화를 정착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이 특허명세의 일부를 개선하여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DRM 적용방안을 수정하여 저작권이 없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DRM을 적용하지 않고 프리 콘텐츠로 누구나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2014년 국내 콘텐츠산업 총 매출액은 전년대비 3.4% 증가한 94조3,000억 원을 기록하였다. 2013년과 비교해 보면 지식정보(10.7%), 음악(8.4%)의 매출액 증가율이 다른 장르에 비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4년 총 수출액은 전년대비 9.8% 증가한 54억1,0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2013년과 비교해 보면 게임 음악 장르의 수출액이 12.2%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15년 콘텐츠산업 전망,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1) 이는 근래 들어 전 세계적인 한류열풍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속적으로 CT(문화기술) 산업 성장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2015년 글로벌 콘텐츠 시장은 1조9,13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 성장이 예상된다. 매체별로 보면, 인터넷 접속이나 인터넷 광고의 성장률은 다소 감소하는 대신, B2B와 영화, 음악 등 전통적 미디어 산업이 높게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해외시장 선점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MICROSOFT CORPORAT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WO2014019753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3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