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밀장치용 초저열팽창 주조합금 개발

전문가 제언

최근 공업기술의 발전으로 특히 전기, 전자, 반도체 등 초정밀 가공이 필요한 제조 분야에서 가공 정밀도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가공 기계의 고속작업으로 열팽창이 발생하여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계적 성질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료로 대표적인 합금이 불변강(invariable steel)으로 Fe-Ni합금 불변강은 인바효과(invar effects)로 상온에서 온도에 따른 열팽창계수가 매우 낮다.

 

대부분의 강자성 합금은 단일 강자성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불변강 합금은 자기스핀이 반대방향으로 배열된 반강자성상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 온도에 따른 체적자기변형(Magnetos-triction)효과가 격자 팽창에 의한 체적의 팽창을 상쇄시키기 때문에 열팽창이 적어진다.

 

강자성이 소멸되는 큐리 온도(Curie temperature)이상의 온도에서는 강자성이 소멸되어 체적자기변형 효과가 상실되어 열팽창계수가 다시 증가한다. 실제로 Fe-36%Ni인바 합금의 큐리 온도는 약 280℃로 200℃이상에서는 열팽창계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철계와 주강계를 비교하면 주강계는 비교적 열팽창계수가 작고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크다. 반면 주철계는 다량의 흑연이 존재하기 때문에 열팽창과 기계적 성질은 주강계보다 작지만 주조성, 절삭성 및 흡진성 등이 우수하다.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기지조직이 오스테나이트로 경도가 낮아 실용적인 합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도 상승이 반드시 해결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국내에서도 저열팽창합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어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이미 저열팽창 주조재를 이용한 정밀공작기계 부품 제조기술을 개발하였고, 2010년에는 한국기계연구원의 부설 재료연구소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용 고기능 Susceptor부품을 위한 기반기술을 연구하여 발표하였다. 저열팽창합금 분야는 계속 연구해야 할 과제가 많고 앞으로 그 수요가 많은 분야라고 생각한다.

저자
Handa Takuo, Kurusu Naoto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55(12)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8~33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