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주정박에 대한 통합적 생물정제공정

전문가 제언

씨앗껍질과 곡물섬유는 독특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셀룰로오 보다 높은 해미 셀룰로오스 성분과 리그닌 함량이 낮다. 곡물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씨앗껍질은 일정한 품질로 많은 양의 확보가 가능하다. 예로 옥수수 씨앗 껍질은 옥수수처리공장에서 발생하는 주정박(DDG)은 이미 상용화 되어 있다. 미국에서 옥수수 씨앗 껍질의 발생량은 약 20Tg으로 기타의 전통적인 바이오매스 공급원에 비하여 선적, 저장 및 기타 물류비용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주정박의 에너지함량도 옥수수와 비교하여 낮지 않으므로 주정박구입이 용이한 지역에서는 주정박을 옥수수 대체사료로 일정량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동물사료로 DDG를 이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수많은 대학에서 연구되어왔는데 이에 따르면 DDG는 식용동물을 위한 사료의 영양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DDG 분야에 대한 사료용 연구는 적합하지 않고 주정곡물의 섬유질부분을 보다 높은 가치의 제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DDG로부터 보다 부가적인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적인 타당성을 기술하고 있다. C5 기반의 총합적인 바이오정제공정으로의 접근은 크실로오스 농후의 가수분해과정 및 두 개의 부산물생산과정의 선택적 가수분해공정을 활용한다. 체를 통과한 미세입자 부분의 성분분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원래의 DDG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높다.

 

곡물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로는 바이오에너지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곡물가격의 고공행진과 불안정한 수급구조는 재생 바이오물질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을 재인식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농산잔류물과 폐기물과 같은 가용 에너지원도 함께 포함한 에너지 수급믹스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바이오매스의 이용확대대책에 중점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자
Robert Lupitskyy, Charles Staff, Jagannadh Satyavol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2()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1~256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