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합류식 하수관거 범람 처리용 인공습지:설계 문제 및 적용 현황

전문가 제언

한반도도 기후변화에 의해 태풍도 그 위력이 더욱 세어지고 홍수 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2008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하루 80㎜ 이상의 비가 쏟아진 폭우의 빈도가 지난 35년간 2배로 증가하고, 연평균 강수량은 1973∼1977년이 1,177㎜인데 비해 2000년 이후에는 1,40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우리의 인프라 시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이에 대한 대비를 준비할 때이다.

 

도시의 인구밀도의 증가와 하수관거의 지속적인 증설로 도시의 폐수유량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기에는 오래된 일부 하수구에서는 지표수가 침투되는 등 하수관거의 범람을 가져온다. 합류식 하수관거범람(CSO)은 하수, 우수의 유입, 산업 배출수의 유입 및 이들 침투된 지표수의 혼합유량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비로 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합류식하수관거 범람을 처리하기 위한 인공습지의 현황, 설계상 문제점 및 고려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설계상 문제점 및 고려사항으로 인공습지의 용량, 수력 및 오염물질 부하의 평가, 습지형태, 허가사항, 습지 레이아웃 및 습지 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최근의 게릴라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하수도 설비에 대한 빗물대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기상예측 기술향상을 통한 빗물 유입량 예측 정확도 향상과 함께 효과적인 배수 시스템 등 하수도 설비 시스템 기술의 발전을 기대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하수도에 대한 지하수 침투가 하수처리장의 운용 효율, 호우 시 하수관의 월류 증대 등과 같은 환경질, 에너지 코스트와 탄소방출량 증가 등과 같은 지속가능한 환경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지하수 침투를 탐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기술 개발과 특히 노후화 되거나 부실 공사된 합류식 하수관거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저자
Wendong Tao, James S. Bays, Daniel Meyer, Richard C. Smardon and Zeno F. Lev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6()
잡지명
Water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62~3385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