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에어제트 룸 공기절감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회전수가 정체되어 충분히 성장했다는 평을 들었던 에어제트 룸에 대해 에너지 절약, 특히 공기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이유로는 레피어 룸, 워터제트 룸 등에 비해 비싼 러닝코스트(running cost)와 압축공기를 만드는 컴프레서의 높은 전기소비량 및 전기요금 상승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직기 제조사들은 에어제트 룸의 에너지절약과 공기절감을 위한 방안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기소비량 삭감(노즐, 액추에이터, 센서, 제어의 성능향상)과 각 노즐의 사용압력 저압화(압력손실의 저감, 컴프레서 토출압(discharge pressure)의 저압)에 힘쓰고 있다.

 

에어제트 룸의 공기절감을 위한 방법으로는 서브 노즐의 공기 사용량 절감에 주력하면서, 두껍고 짧은 배관 설계에 의한 압력손실 감소, 그룹별 서브 노즐 수의 감소(불필요한 분사의 절감), 서브 노즐 구멍과 위사 거리의 근접화, 바디에서 새는 공기를 위입 방향으로 집약시키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에어제트 룸 등장 이래 직기제조사들의 기술개발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공기절감 방식도 발전되어 왔다. 향후 에어제트 룸 직기가 세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에너지절약 및 공기절감에 관한 다양한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워터제트 룸이나 레피어 룸처럼 에어제트 룸도 노후화된 설비의 시설을 보유한 곳이 많다. 원가상승, 환경문제 등의 이유가 있겠지만, 더욱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개발에 주력해야하는 세계 시장에의 요구에 따라 우리 섬유업계도 에너지 절약, 공기절감에 주력한 에어제트직기 부품의 혁신과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면 직물품질 향상과 높은 생산성을 기할 수 있고 대외경쟁력에서 한층 더 발전하리라고 본다.

 

저자
BANBA Hide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67(10)
잡지명
纖維機械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29~633
분석자
김*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