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치의학과 공학의 융합에 의한 노화방지 대책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치아결손과 치아질환을 인간의 조기사망과 노화의 주요요인으로 지적하고 그 대책의 일환으로 치의학과 공학의 융합문제를 다룬다. 공학분야인 치과재료와 보철물가공은 고도의 재료기술과 정밀가공기술 분야로서 대다수의 사람과 관련되는 영역이다.

 

치아와 건강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예건대, 영국에서 대학생 12,600명의 57년 이후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당시 결손치아수가 4개 이하인 학생에 비해 9개 이상인 학생은 사망률이 1.35배였다. 또 Beck 등의 연구결과를 보면 치주질환 중증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장발작 리스크가 2.8배로 나타난다. 알츠하이머 질환도 치아상실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치아보철물은 인간의 수명 또는 건강수명 연장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예컨대, 일본 Fukai 등은 40세 이상 5,700명을 15년간 추적한 결과 치아수가 10개 이하에서 의치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자는 의치를 이용하고 있는 자에 비해 생존률이 7할 수준이었음을 보고했다.

 

치과재료는 금속재료, 고분자재료, 세라믹스가 주류로서 치관(크라운), 인레이, 의치, 충전재 등으로 이용된다. 재료기술과 가공기술의 발전으로 이들 재료분야에서 모두 변화와 발전이 이뤄져왔으며, 최근에는 특히 설계와 가공에서 컴퓨터를 이용하는 CAD/CAM 방식의 도입되는 양상이다.

 

최근 치의학에서 특기할만한 공학과의 융합성과는 3D 프린터의 적층제조기술에 의한 치아 모형제작에의 광조형방식 채용, 나아가 치아가공방식의 진전이다. 치과에 세라믹 또는 금속 3D 적층제조기술의 도입은 새로운 도전과제의 하나이다. 이 분야는 국내 3D 프린팅산업과 기술발전 추세로 볼 때 치의학과 공학의 대표적인 융합영역의 하나로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저자
Naruyoshi SUGIHAS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81(1)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3~17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