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기조화시스템의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

전문가 제언

건물부분은 국내 전체 에너지의 20% 이상을 소비하고, 이 중 대부분은 공기조화시스템(HVAC)에서 소모된다. 이러한 에너지 소모가 큰 공조시스템의 고효율화는 에너지 비용 절약은 물론 온실가스 배출 감축에 크게 기여한다.

 

고효율 공조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요소의 재구성과 고효율 공조기술의 활용으로 실현 가능하다. 하지만 환경에 맞는 기술 선택이 필요하다. 고온다습지역은 냉각탑 이용 수냉식 공조시스템이 적합하지 않고, 환기유입 비율이 높은 환경에서 열회수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최대냉방부하가 평균값보다 현저히 큰 상업/공장에서 축열 기술은 효과가 크다.

 

주요 고효율 공조기술은, ①증발 냉각(evaporative cooling), ②지열 이용(ground-coupled), ③축열(heat storage), ④열회수(heat recovery)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액체압력증폭(liquid pressure amplification), 제습냉각(desiccant cooling), 이젝터 냉각(ejector cooling) 기술과 함께 VAV(Variable Air Volume), VRF(Variable Refrigerant Flow) EMS(Energy Management System), DDC(Direct Digital Control) 등의 제어기술도 중요하다.

 

국내의 고효율 공조기술은 1990년대의 가전제품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도와 근래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제도 등의 정책 확대로 산업체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대학, 연구소에서도 “공기조화설비 효율화 중심의 건축물 에너지절약 방안 연구, 성균관대, 학위논문, 2,000년)” 등 연구 활동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소비량 10위국인 우리나라는 에너지 비용 절약, 첨두전력 문제 경감, 환경보존 측면에서 필수적인 고효율 공조시스템의 보급이 시급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혹서기/혹한기 기후 및 전력부족에 대응하여 특히 지열, 축열 기술의 활용이 극대화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요소 및 시스템 기술 개발과 시스템 보급 확대가 요구된다.

 

저자
Vahid Vakiloroay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77()
잡지명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738~754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