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착부여제의 표면편석을 이용한 터치패널용 점착제의 내발포성 향상
- 전문가 제언
-
○ 근년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성능이 더욱 중요시되면서 고성능의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함께 스마트폰의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및 커버 패널을 접합하기 위한 첨단 접합소재로서 광학특성을 가진 투명한 접착제인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OCR(optically clear resin)의 개발이 디스플레이 성능향상에 중요 기술요소로 되고 있다.
○ 터치패널은 현재 화학강화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충격성의 향상이나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패널로의 치환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패널의 사용에는 습열 부하에 의한 발포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개량하는 것이 과제이다.
○ 이 글에서는 터치패널용 점착제에서 과제로 되고 있는 습열 부하에 의한 발포 문제의 해결수단으로서 점착부여제(tackifier)의 첨가에 의한 발포 억제가 검토되었다.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에 대해서 다양한 혼화성을 나타내는 점착부여제를 첨가하여 내발포성을 평가한 결과, 베이스 폴리머에 대해 적절한 혼화성을 보이는 점착부여제를 첨가함으로써 내발포성이 대폭으로 향상되었다.
○ 상기 시료에서 발포가 억제된 점착제 표면에는 점착부여제가 편석되었다. 내발포성의 향상에는 점착부여제가 표면에 편석함으로써 표면근방에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영역이 형성된 것이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터치패널과 디스플레이 간의 공극을 OCA나 OCR로 충전함으로써 야외 시인성은 물론 전반적인 시인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 디스플레이 패널 산업에서는 국내업계가 세계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터치스크린 패널의 핵심 부품 및 소재는 대부분 일본, 미국, 대만 등 외국 업체가 장악하고 있다. 국내의 광학용 접착제 시장도 Henkel, 3M 등 다국적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LG하우시스, 율촌화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광학용 접착제의 개발에는 단순한 접착제로서의 특성을 뛰어넘어 우수한 광학특성 및 내환경성(UV, 고온, 고습 등)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갖추는 것이 필수적 요소이다.
- 저자
- K. Nakamur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0(7)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9~234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