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구강의 열처리와 표면처리
- 전문가 제언
-
○ 근래 진공로에 있어서 질소가스 냉각으로의 대체기술도 개발되었지만 고온역의 냉각속도는 염욕로에 미치지 못하는 현상이다. 단 염욕로 가열 때문에 전력원가가 높고 초산칼륨이나 초산나트륨 등의 혼합염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기·수질·폐기물처리 등의 대책비용부담이 큰 것이 과제이다.
○ 경년변화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잔류오스테나이트를 감소시키든가, 또는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잔류오스테나이트를 줄이는 목적으로 심냉처리를한다. 이것은 담금질시에 실온이하의 온도까지 냉각시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촉진시켜 잔류오스테나이트량을 저감시키는 처리이다. 또 하나는 뜨임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잔류오스테나이트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 최근 플라즈마질화의 결점을 극복한 액티브스크린질화법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기 시작하는 등 플라즈마질화기술은 점차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하겠다.
○ 최근 저온코팅의 진보는 눈부시게 발전하여 예전까지는 장식용에 사용된 금색의 막(TiN막)이 TRD를 초과하는 등 성능을 달성하고 있다. PVD성능이 향상된 배경에는 막과 기재의 계면의 청정화와 막에 발생하는 결함을 줄이는 기술의 개발이고, 내박리성의 향상이 하나의 원인으로 사료된다.
○ 국가기간산업인 철강, 조선, 항공, 자동차, 전자, 건설 분야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소재 및 제품의 품질 및 성능향상을 위한 열처리 및 표면처리 공정이 필수불가결하다. 이에 따라 이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열처리 및 표면처리 분야의 기술수준도 점차 향상되어 현재는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생각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향상과 공정개발 및 개선 등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 저자
- MURASAKI TAKUY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63(6)
- 잡지명
- 特殊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6~33
- 분석자
- 김*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