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인 열대과일 껍질의 항산화물질, 항산화작용 및 페놀 함량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의 목적은 멕시코의 유카탄 지방에서 성장하는 세 가지 열대과일의 동결 건조된 껍질의 항산화 화합물, 항산화 활성 및 개별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결정하는데 있었다. 그 과일들은 purple star apple, yellow cashew 및 red cashew이었다.
○ 항산화 화합물의 우수한 재료인 그 동결 건조된 과일 껍질의 ABTS와 DPPH는 각각 3050.95∼3322.31 μM Trolox/100g of DW 또는 890.19∼970.01 mg의 비타민 C/100g of DW 및 1579.04∼1680.90 μM Trolox/ 100g of DW 또는 340.18∼362.18 mg의 비타민 C/100g of DW이었다. 연구된 열대 과일의 껍질에서 페룰, 카페인, 시나픽, 갈륨, 엘라직 및 미리세틴의 여섯 가지 페놀 화합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purple star apple, yellow cashew 및 red cashew의 동결 건조된 껍질이 식품업계와 제약업체에서 사용되는 항산화물질의 잠재적인 재료로 제공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본 연구에서 폐기물인 열대 과일 껍질의 항산화 화합물, 항산화작용 및 개별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전 연구들에서 입증된 분석 기술들이 사용되었다.
○ 천연재료의 활용과 그것의 부산물에 대한 재활용의 가치 및 개발에 대한 식품업계와 제약업계의 관심이 증가되어 그 재료들로부터 항산화 화합물의 추출에 관한 연구도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다양한 식재료와 그것의 부산물(예 : 양파, 포도 가공 부산물, 배추 잎, 붉나무 수피)로부터 항산화물질의 추출과 분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최근에 체내 활성 산소 제거뿐만 아니라 영양소가 풍부한 ‘슈퍼 푸드’가 각광을 받으면서 식·음료업계와 제액업체들이 그것을 활용한 식품을 선보이고 있다. 한 예로 현대인의 만성피로, 항노화, 항비만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로 레드폴리페놀 농축액이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passion fruit 껍질의 추출에 관한 특허(U. S. patent application US 2002/0187239 A1)가 다양한 농산물의 항산화물질을 추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려 된다.
- 저자
- Victor M. Moo-Huchin, Mariela I. Moo-Huchin, Raciel J. Estrada-Leon, Luis Cuevas-Glory, Ivan A. Estrada-Mota, Elizabeth Ortiz-Vazquez, David Betancur-Ancona, and Enrique Sauri-Duc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66()
- 잡지명
- Foo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22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