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스페놀-A: 후생학적 재프로그래밍과 생식 및 행동에 대한 영향

전문가 제언

최근 들어 국내에도 비스페놀 A의 독성에 대한 기사가 많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요도하열(요도길이가 비정상적으로 짧은 병) 또는 잠복고환(고환이 배 속으로 들어간 병)과 같은 질병이 1996년 출생아의 0.4%에서 2003년 0.8%로 증가했다. 일부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 요도하열 질병이 환경호르몬 노출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국내 여성의 유방암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유방암은 이미 여성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 되었다. 국내 유방암환자의 지방조직에서 정상집단보다 2.5배가량 높은 환경호르몬이 검출된 바 있다.

 

우리나라는 2008년 식약청이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기구 및 용기 포장에 대해 비스페놀 A 용출기준을 기존 2.5ppm에서 0.6ppm으로 강화시켰으나 아직까지 사용을 금지하지 않고 있다. 최근 메디아에서 캔 음료가 혈압을 높인다던지 등의 여러 가지 건강에 관한 정보가 퍼지면서 국내에서도 비스페놀 A의 규제를 적극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식약청은 미국, 유럽에서도 우유병 같은 제품에 사용되는 정도의 양은 안전하다고 반박한 적이 있으나 최근 우유병에 BPA를 전면 금지할 것이라는 행정 예고를 한 바 있다. 서울대병원이 서울과 울산의 초등학생 1천여 명의 소변을 채집해 BPA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검사대상 모든 어린이에게서 검출된 바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화학공업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환경에서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엄격한 조사와 규제가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인구 밀집지역의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의 생활용품(식기, 컵, CD, 생수병, 헬멧, 마루접착제 등등) 및 유리 대용 생활 주변 시설(온실, 실내체육관, 방음벽, 신호등 등등)에는 BPA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수지가 주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미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고, 불량 장난감, 불량 학용품이 널리 퍼져 있는 현상을 시급히 바로잡을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 환경에서는 식약청을 포함한 관계기관에서 사전예방원칙을 적용할 것을 강력히 건의한다.

저자
Guergana Milev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1()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537~7561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