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akistan Himalayas 북동쪽 2005 Kashmir 지진에 의해 촉발된 산사태 분석

전문가 제언

2005 Kashmir지진에 의해 촉발된 산사태 분포가 Pakistan Himalayas 북동쪽의 Jhelum Valley, Neelum Valley, Muzaffarabad 인근에서 분석되었다. 산사태는 SPOT 인공위성 영상과 야외조사를 통해서 도면화되었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가 지진 진원(진앙 및 단층)에서의 거리, 지형적 파라미터(사면경사 및 고도) 및 지질단위와 같은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이들 산사태의 분포를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는 지진의 진앙과 재활된 Muzaffarabad 단층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산사태 집적은 줄어드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산사태 최대 집적지는 지진의 진앙과 단층부근이고 산사태 발생은 사면경사가 310~400범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산사태 방향은 남쪽향이 우세하였고 산사태 집적도는 여러 가지 지질단위 사이에서 상당히 다른 것으로 제시하였다. 산사태는 마이오세 Murree층에서 넓게 분포되는 반면 산사태 집적도는 캠브리아기 Muzaffarabad층에서 높았다.

 

지진의 진앙과 Muzaffarabad 단층에 의해 피해를 입은 평균 산사태 집적도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태의 최대변화는 진앙과 Muzaffarabad 단층으로부터의 거리 때문에 기인하고 산사태 집적도는 진원으로부터의 거리에 주로 의존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지형적 파라미터와 지질단위는 산사태 분포에서 종속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아직 지진 산사태가 공식 보고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한국은 지각판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현재까지 대규모 지진 경험이 없다. 규모 5 이상의 계기지진이 1978년 홍성지진을 비롯하여 몇 차례 일어났으며 역사 지진기록 해석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후로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수차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제4기 단층에 의한 소규모 단열구조가 보고되고 있음으로 지진재해 대응기술 개발을 준비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저자
Muhammad Bashara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06()
잡지명
Geomorph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3~214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