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 발광다이오드(PLED)의 동향

전문가 제언

PLED의 기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공액고분자의 설계 동향을 잘 정리하고 있다. 공액고분자들의 화학구조가 워낙 복잡하여 분야 전문가가 아니면 그 표기도 쉽지 않고 이를 한 눈으로 알아보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를 쉽게 해설할 방법이 없는 것은 아쉬운 점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s) 중에서 저분자계는 1987년 이후 꾸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이제 디스플레이의 주역이 되고 있다. TFT-LCD의 자리를 이제는 저분자계 OLED가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재료개발의 속도나 비즈니스의 기회 측면에서 PLED가 저분자계 OLED를 따라갈 수 없는 현실이나 디스플레이 제조의 궁극적인 목표가 진공증착이 아닌 도포에 의한 것이라면 PLED의 가능성이 아직도 남아 있다.

 

따라서 PLED는 현시점에서 OLED와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차세대 재료”라는 기치 아래 착실하고 꾸준히 실용화를 향해서 기술력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효율적이고 저렴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재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인 삼성, LG 등이 차세대를 위한 전략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저분자계 OLED의 호황 속에서 PLED가 빛을 잃어버리고 있다. PLED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다시 한 번 숙고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 국책과제 기획의 주제어도 플렉서블과 OLED가 거의 전부다. 한때 PLED에 대한 국내 연구가 KIST와 몇몇 대학들에서 이루어졌으나 이제는 국가적인 프로젝트에서 거의 제외된 느낌이다. PLED의 연구개발에 대한 인식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다시 한 번 재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G.Zucch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Polymer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68~1377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