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절개가능한 췌장선암에 대한 보조요법

전문가 제언

췌장암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췌장선암은 소화효소를 만드는 췌장부위내에서 나타나며 종양은 췌장관에서 99%, 선포세포에서 1%정도 발생할 수 있다. 췌장암의 90%이상이 발생 후기에 나타나며 이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치료실패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췌장암의 최선의 치료는 암이 얼마나 퍼졌는지에 달려있다. 췌장암 단계(단계0~IV)는 암확산 범위를 표현할 때 임상대상에서 환자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까다로우며 CT-스캔과 초음파같은 영상진단법이 있으나 췌장암이 얼마나 확산되었는지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술은 위험이 따르므로 췌장암이 수술로 제거될 수 있는지(절개가능한지)를 먼저 결정한다. 영상진단에서 암이 확산되지 않고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경우 이를 절개가능하다고 판단하며 주요혈관내로 진행되었으면 종양을 수술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없으므로 절개불가능으로 판단한다. 또한 전이되었을 때도 암을 제거할 수 없다.

 

수술만으로는 전신재발과 국부재발률이 높아지므로 수술절개후 치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신성 화학요법(CHT), 방사선요법(RT) 및 이들의 결합요법(CRT)이 사용되었다(보조요법). 그러나 RT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으며 CHT도 환자에 따라 부작용의 문제가 있어 가능한 안전한 보조요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우리나라도 2012년 국가암등록통계 자료를 보면 10대 주요암 가운데 5년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이 췌장암(8.5%)이다. 이는 해부학상 췌장암 조기발견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종양마커(Ca 19-9 )보다 정확한 췌장암 특이종양마커의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췌장암의 예방적 차원의 연구는 물론 췌장암세포를 표적으로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 면역요법 및 유전자치료법 등을 비롯하여 연구수술후 예후를 위한 부작용없는 새로운 보조요법의 개발에 대해 관련학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학제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G. Antoniou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40()
잡지명
Cancer Treatment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8~85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