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seudomonas와 Burkholderia 종의 바이오필름 형성조절

전문가 제언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 Pseudomonas aeruginosaBurkholderia cenocepacia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조절하는 분자메커니즘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 종의 바이오필름 형성은 c-di-GMP(cyclic diguanosine-5‘-monophosphate), sRNA(small RNA) 및 QS(Quorum Sensing)이 조절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차 매신저로 c-di-GMP를 고용하는 시스템은 박테리아가 형성한 바이오필름의 세포 밖 기질성분으로 표면단백과 외부다당류 생산을 조절한다. 또한 sRNA를 이용하는 시스템 역시 상기 모든 종의 외부 다당류 바이오필름 기질생산을 조절하였다.

 

Pseudomonad계 박테리아의 QS는 세포 밖 DNA, 렉틴 및 바이오계면활성제 생산을 조절해서 바이오필름 형성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으며, B. cenocepacia QS는 바이오필름 기질성분으로 세포 밖 DNA, 렉틴 및 거대 표면단백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비록 3개 조절시스템이 바이오필름 형성에 활용되는 기질생산을 조절하지만 분자메커니즘은 이들 종들 간의 분자메커니즘은 다소 차이를 보였다. 검증조건 하에서 외부 다당류는 P. aeruginosa의 가장 중요한 바이오필름 기질성분으로 확인되었지만 거대 표면단백은 P. putida, P. fluorescensB. cenocepacia의 바이오필름 형성에 가장 중요하였다.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역삼투 해수담수화 공정 내 바이오필름 형성 미생물의 부착 및 고압내성 특성을 비롯하여 유치 카테터에 발생한 바이오필름 분석, QS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카테터 감염의 예방법 개발 및 박테리아 바이오필름에 의한 오염방지가 가능한 새로운 식품 포장 시스템 등이 수행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었다.

 

저자
M. Fazl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6(7)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61~1981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