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백질 계 바이오고분자의 특성 및 응용

전문가 제언

단백질 고분자의 주 용도인 식품포장용 식용필름은 1213세기경 중국에서 오렌지와 레몬을 wax에 담금으로써 수분 손실을 지연시키는 방법에서 시작하여 최근에는 collagen을 이용한 소시지 포장, 과일이나 야채에 대한 wax coating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인스턴트식품 등의 내포장재로 이용하면 포장을 뜯지 않은 채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전망이 밝은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단백질의 특성을 살린 다양한 식품포장용 식용필름의 제조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식품 포장에 단백질계 고분자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성, 강도, 탄성, 인장탄성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의 증가가 필요한 바 이를 위한 단백질/비단백질 블렌드가 성공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때 최적의 결합재/가소제, 가교제, 그리고/혹은 용매의 선택이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최근에 독일의 프라운호퍼 공정 및 포장기술연구소가 유청 단백질을 barrier layer 소재로 하여 롤 투 롤공정개발에 성공,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 농업연구청에서도 유청 단백질로부터 식품을 코팅 또는 포장할 수 있는 내수성 식용필름을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실적이 있다.

 

제품화 현황으로는 Liechtenstein 소재의 World-Pac International 사가 소시지 포장용 콜라겐(상품명, SUN PRO NW)을 시판하고 있고, 유청 단백질을 개질하여 산패하기 쉬운 땅콩과 같은 견과류의 코팅제, 애완동물 먹이 및 즉석 식품용 포장 종이의 내부 코팅제, 초콜릿을 입힌 과자류의 광택 코팅제 등에 사용하고 있으며 치즈, 훈제 연어, 고기 등의 부패방지용 표면 코팅제로도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2년 강릉대 식품과학과에서 명태를 이용한 단백질 필름 제조 연구를 시작으로 충남대 식품공학과의 막걸리 박(단백질 20% 함유) 및 옥수수 단백질 필름, 서울여대의 탈지 겨자씨 필름과 유청 단백질 필름을 이용한 적층필름,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도복미를 이용한 단백질 필름 제조 연구 등이 있다.

저자
Pratima Gupta, Kush Kumar Nayak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85~498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