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유기발광 디바이스

전문가 제언

용매에 녹는 전도성 고분자는 용액 공정으로 대면적의 박막을 만들 수 있고 가볍고 유연하여 굽힘 강도가 큰 플렉시블 디바이스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한 삼성전자의 갤럭시나 애플 워치 등이 시장에 선보이면서 인쇄 공정으로 유기박막을 만들고 전극 형성을 포함한 모든 공정을 인쇄 공정으로 전자ㆍ광 디바이스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도성고분자중 비교적 발광효율이 높고 이동도가 크며 안전성이 우수한 고분자재료로 잘 알려져 있는 폴리알킬플루오렌(polyalkylfluorene)계 고분자재료를 이용해 유기발광 디바이스, 특히 발광다이오드와 발광트랜지스터에 대해 제작 방법과 그들의 전기적ㆍ광학적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유기재료의 특징을 살려 가볍고 유연하며 친환경적인 전자ㆍ광 디바이스가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플라스틱기판을 사용하면 유연하여 구부릴 수 있는 디바이스가 실현되고 또 나노와이어 등의 전극을 사용하여 유연성을 갖는 전자ㆍ광 디바이스도 제작 될 수 있다. 또 유기발광다이오드는 고속의 응답을 나타내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정보단말기의 발광디바이스로써의 응용도 가능하다.

 

대면적 디스플레이 공정이 가능한 유기발광트랜지스터에 대한 연구는 네트워크 전극과 수직구조를 이용해 면발광을 가능하게 한 서울대 이신두 교수팀(Optics Express, 2014, 22(12) 14750)의 연구 결과를 비롯하여,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미래형 디스플레이의 핵심요소들에 대해 산업 요구에 맞춰 정부의 정책과 산학연이 원활하게 연계되어 연구가 진행된다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도 우리나라가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OHMORI Yuta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4)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43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