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oT 통합플랫폼의 상호 운영성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통합 플랫폼은 디바이스와 통신의 교차를 가능하게 하는 단일 인터랙션 포인트로 작동하며 단일화된 API, SDK, 프로토콜, 상호 운영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통합과 통합 서비스시스템, 통합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구현과 실행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IoT 플랫폼의 상호 운영성 메커니즘과 구성 원리 기본을 제시한데 특징이 있으며 전후방 기술인 IoT 서비스, 플랫폼, 디바이스, 네트워크, 보안 기술의 설계 및 상품화에 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상호운영성은 IoT디바이스에 대한 수직적 솔루션 통합의 중요한 부분이며 그 기능은 규칙생성모듈, 디바이스 식별모듈, 규칙실행모듈, 이벤트 추적모듈 등으로 구성되며 IOT 디바이스를 논리적으로 연결되게 한 다. 논리적 디바이스 규칙은 자연어로 구현되기도 하며 논리적 연결이 구축되면 사용자 간섭 없이도 운영규칙이 정의, 적용되는 특성이 있다.

 

국내외적으로 이질적 디바이스 및 플랫폼간의 연동과 시맨틱 및 빅데이터 처리 기술기반의 IoT 서비스 통합플랫폼 개발과 마케팅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최근 국내 ICT 관련 정부 및 출연기관 지자체 등 대부분의 과제에서 IoT가 다수 언급되면서 산학연의 IoT 서비스 프레임워크나 플랫폼 관련 과제의 도전이 활발한 것은 바람직하나 검토해볼 점들이 있다. 기술과제 경우 국내외 시장창출 이력이나 실무기술의 향상의 연계 검증 없이 재탕, 삼탕 식의 페이퍼 과제의 확대 재생산과 성과위주의 확산은 지양되어야 한다.

 

특히 IoT 기반 및 요소기술의 미성숙과 인프라의 미형성에도 연구개발과 사업계획서에 이머징 기술들의 구현과 상호운영성이 과포장되면서 세부 구성기술에 대한 발전을 위한 사후검증강화가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다. 산업적 중추인 중소기업이 실수요 기술과의 갭을 줄이기 위한 시정이 요구된다. 제조 산업의 경우 제조시스템 프레임과 층별 구조, M2M 및 IoT기술과 서비스플랫폼의 이해에 따른 실무과제 우선순위 판별도 중요하다고 본다.

저자
Neura,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06045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9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