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콘택트렌즈의 데이터 검색을 위한 RFID 태그센서 고유 식별자

전문가 제언

2012년 이후 미국출원을 거쳐 2015년 2월 세계특허(PCT)로 등록한 RFID 기술을 이용한 콘택트렌즈는 2014년 파일링 당시 시장에서 구글이 당뇨환자의 눈물을 통해 혈당치를 측정하는 건강 체크용 콘택트렌즈 프로젝트로 발표했었다.

 

2015년 공개된 PCT 특허의 내용이 2014년 발표 내용과 메커니즘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2014년의 빛, 압력, 온도, 전기 센서와 눈 깜박임에 의한 신호전달 등 멀티센서 태그로서의 기술에 추가하여 2015년은 리더기와 다중센서 태그간의 고유 식별자를 통한 센싱 결과의 송수신 메커니즘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여 프로젝트를 단일 기술에서 시스템 수준으로 레벨 업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DS사의 베리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유해성 여부 등 구현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논란도 많지만 구글 프로젝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원격제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징후도 보인다. 매체에서 RFID 센서태그 디바이스의 콘택트렌즈 삽입메커니즘 자체가 화제가 되었던 반면 금번 특허에서의 특징은 리더기 센서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2014년 센서태그 디바이스의 센싱 대상으로 당뇨환자의 혈당 체크 분야가 언급되었던데 비해 2015년 PCT 특허에서 스마트폰, 워치, 밴드, 목걸이, 펜던트, 안경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에 리더기 장착과 상시 감시를 위한 저 전력에너지 공급을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안으로 태양에너지 이용, RFID의 전자기 유도방식도 언급하는 것으로 볼 때 일정 수준의 개발이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웨어러블기기와의 협업을 지칭한 것도 기존 웨어러블기기인 구글 글래스, 조립식 스마트폰 프로젝트와의 연계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되므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 기술은 아직 뚜렷이 제시된 내용은 없는 기술이나 특허 내용을 분석해 볼 때 생체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로 진전이 있을 기술로 보이며 창의성 치원에서 파생기술과 비즈니스모델로 IoT와 연계하여 선행연구에 도전할 필요성이 있다.

저자
GOOGLE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26401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8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