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대칭 자기촉매반응을 이용하는 키랄화학

전문가 제언

아미노산이나 당류로 대표되는 생체관련 화합물의 대부분은 왼손과 오른손 관계에 있는 거울상 이성체(Enantiomer) 중의 한쪽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거울상 이성체는 생명기원과 관련으로부터 키랄화학(Chiral chemistry)분야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이다.

 

최근 키랄의약품의 개발을 위하여 컴퓨터과학과 화학이 결부된 화학정보학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값싼 전구체 물질을 발견하고, 이것을 토대로 키랄의약품의 합성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제약업 및 정밀화학 분야에서 순수한 거울상 이성체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키랄 테크놀로지를 다루는 연구방법도 변화되어 가고 있다.

 

키랄물질은 거울에 비쳐지는 물체와 거울상의 관계처럼 입체적 구조가 동일하지 않은 화학물질을 말하며, 현재 사용되는 의약품, 농약 등이 이 물질의 혼합물이다. 다공성 결정물질은 내부에 많은 빈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여러 물질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물질로서, 석유화학분야에서 원유로부터 휘발유를 얻는 촉매나 세제보강재, 중금속이나 방사성 폐기물 제거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키랄물질은 크기나 모양이 같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 똑같은 반응을 보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생체에 대한 반응이 전혀 다른 것이다. 예를 들면 키랄물질의 한 종류인 (R)-thalidomide는 신경안정제로 쓰이지만, 이 물질을 거울에 비친 것과 같은 구조의 (S)-thalidomide는 약효가 없거나 오히려 부작용을 나타낸다.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Aspartame)도 키랄물질로서, 한 종류의 어떤 것은 단맛이 있지만 다른 것은 맛이 쓰다. 따라서 거울상 이성체 관계에 있는 두 화학물질 중의 유용한 하나만을 분리하거나 합성하는 키랄테크놀로지(Chiral technology)가 최근 정밀화학이나 의약산업분야에서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포항공대 지능초분자연구단(단장 김기문 화학과 교수)은 간단한 유기분자들을 금속아연(Zn)으로 연결하여 키랄 다공성 결정물질을 합성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저자
Tsuneomi Kawasaki, Arimasa Matsumoto, Kenso Soa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6(2)
잡지명
化學工業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3~138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