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 에너지의 지속적 개발: 지속적인 영향 및 평가체제
- 전문가 제언
-
○ 지열 에너지는 21세기인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나라에서 발전소와 난방용 연료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2008년에 지열 에너지는 전 세계 1차 에너지 수요의 0.1%를 점유하였고 2050년까지는 발전소 수요의 3%, 난방용 연료 수요의 5%에 달할 전망이다.
○ 에너지는 고도의 경제 성장, 번영 및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기본 모체가 되며 반면에 또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에너지는 그 자체가 지속적인 개발의 중요한 요인이나 여러 형태의 에너지들은 그들이 개발되는 동안 다양한 형태의 영향을 주기도 한다. 자원에서 추출된 에너지는 오염을 산출하기도 하고 건강과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 지열 프로젝트의 계획과 운영에서 최상의 인도를 받기 위해 지열 에너지 프로젝트의 많은 잠재 영향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친환경개발위원회(CSD)가 발표한 주제들과 그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 이미 존재하는 에너지를 위한 평가체제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지속적인 에너지 개발 계기장치(EISDs), 친환경개발위원회(CSD)의 에너지 개발 계기장치 지침들, 국제수력학회(IHA)의 지속적인 평가 의정서(SAP) 또는 탄소 프로젝트 및 신용을 위한 기본 금본위 평가체제 등의 기구들이 있다.
○ 바이오매스나 풍력 에너지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프로젝트들은 여러 다른 형태의 평가 체제나 측정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질적인 평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열 에너지의 지속적인 개발을 위해 과정을 측정하는 계기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인 지열 에너지의 개발과 사용에 대한 공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제가 아직은 없는 실정이다. 국내 지열이용은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국제 평가체제가 만들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 저자
- Ruth Shortall, Brynhildur Davidsdottir, Guðni Axels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1~406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