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적 기술에 의한 도시 싱크홀 조사
- 전문가 제언
-
○ 싱크홀은 지표가 붕괴되어 함몰하는 현상으로 대부분은 탄산염암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카르스트지형이 진행되면서 형성된다. 논문 대상지역도 탄산염암이 분포하는 도시로서 카르스트지형을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지역이다. 논문에서는 이 도시에 형성된 싱크홀의 공간적 분포와 싱크홀군(cluster)의 형성 및 진행과정을 분석하였다.
○ 논문에서는 싱크홀 조사를 위하여 여러 종류의 조사방법을 동원하였다. 기본자료로는 1971~1974년에 발간된 지형도, 1946~1986년 촬영된 항공사진, 2010년의 5m 분해능의 수치고도모델(DEM) 등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야외에서 차별 간섭합성개구레이더(DInSAR), 전기비저항 단층촬영(ERT), 지반침투레이더(GPR), 굴착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ERT, 지표조사, 트렌치조사 등의 방법이 싱크홀 군집지역과 단층 분포지역 등을 잘 나타내주고 있어 연구지역과 같은 조건에 대체로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반면 GPR방법은 큰 성과는 없었고 단지 조사지역의 천부(shallow)의 지반정보만을 얻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과거~현재의 지형도와 항공사진들이 침하의 진행을 잘 나타내주고 있어 이들을 기반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현재 우리나라 도심, 특히 서울도심에서 싱크홀에 의한 피해가 속출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에서의 현상은 본 논문에서 나타나는 싱크홀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본 논문의 싱크홀은 탄산염암의 용해에 의해 형성된 싱크홀이고 서울의 경우는 지표부근의 미고결 퇴적층이 지하수에 의해 이동되면서 동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과거 구 하상을 포함한 제4기 하성층의 수평 및 수직분포 범위를 파악하고 이들 층에서의 지하수 유동에 의한 퇴적물 이동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Domingo Carbonel,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29()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16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