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분해성 고분자 사용 화장품용 방향유 마이크로캡슐

전문가 제언

마이크로캡슐은 고분자 막(셀)이 활성물질(코어)을 둘러싸고 있는 코어-셀 구조의 1-1000 μm 크기의 입자로 제약, 식품, 그리고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방향유와 같은 활성성분들의 산화 혹은 증발로부터의 보호 및 제어방출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체내에서 분해/흡수되어 없어지는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과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의한 마이크로캡슐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향수, 화장품, 그리고 농산품 혹은 식품 산업에서의 방향유의 사용은 매우 보편적인 일로서, 특히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방지성, 소염성, 그리고 향균성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방향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내열성 및 용해성 등 이들 방향유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을 감안할 때, 코아셀베이션(Coacervation)법이 그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방향유(Essential oil)로는 레몬 오일, 타임(Thyme) 오일, 장미 향수 그리고 바닐라 오일 등이 있으며, 주로 코아셀베이션 방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다. 이들의 방출은 침식, 확산, 추출, 파열 등의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일어나며, 소수성 방향유의 셀 물질로는 알긴산소다를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PLA, 에칠 셀룰로오스, 키토산 등 생분해성고분자를 사용한 연구들도 다수 나타나고 있다.

 

의약품, 식품, 화장품 산업에서의 방향유의 코아셀베이션 기술 관련 특허를 출원한 대표적인 회사들로는 미국의 Bend Research, Inc, Procter & Gamble,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Givaudan Roure Flavors, Phillip Morris Product, L'Oreal, 그리고 E.I. du Pont de Numers 등이 있다. 참고로, 방향유 마이크로캡슐 전문 제조회사로는 이스라엘의 Tagra사(상품명 Tagrol), 그리고 제조설비 전문회사로는 스위스의 BUCHI Labortechnik AG를 들 수 있다.

 

국내에서 방향유 함유 마이크로캡슐 제조 관련 연구로는 2000년 연세대 화공과, 2002년 전남대 섬유공학과, 2003 숙명대 의류학과 등에서 비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적 들이 나와 있으나, 최근에는 별 다른 연구 활동이 보이지 않는데, 이는 이 기술이 이미 성숙단계에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관련 특허를 출원한 회사로는 KT & G(2011년), 김정문 알로에(2013년), 그리고 아모레 화장품(2005) 등이 있다.


저자
Isabel M. Martins, Maria F. Barreiro, Manuel Coelho, Alirio E. Rodrigu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245()
잡지명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1~200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