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인, 케라틴, 완두콩, 유체 단백질 유래 바이오 필름

전문가 제언

식용필름은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그리고 지방질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가스차단성 및 물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단백질, 그중에서 유청 단백질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UV 차단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강낭콩 단백질 및 항산화성을 가진 옥수수 자인에 대한 관심이 최근에 높아지고 있다.

 

현재, 광 조사 및 무해한 가교제의 사용에 의한 단백질 필름의 약점인 수분차단성을 개선한 식용필름의 제조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식품포장에 단백질계 고분자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성, 강도, 탄성, 그리고 인장탄성률과 같은 기계적 특성의 증가가 필요한 바, 이를 위한 단백질/비단백질 블렌드가 성공적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때 최적의 결합재/가소제, 가교제, 그리고/혹은 용매의 선택이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미국 농업연구청에서 케라틴으로부터 식품을 코팅 또는 포장할 수 있는 내수성 식용필름을 개발하여 특허 출원한 실적(2004)이 있다. 또한, 미국 Nebraska Lincoln (닭 깃털에서 추출한 케라틴으로 만든 멀칭 필름, 2002; 식용필름, 2012), Illinois 대학(옥수수 자인, 식품포장 2005), S. Dakota 주립대(옥수수 자인, 약물전달시스템, 2014) 등이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제품화 현황으로는 미국의 Keraplast Technologies, Keratin Complex Holdings 및 일본의 Shiseido가 양모에서 추출한 케라틴을 사용하여 피부 및 두발 코팅제를, 그리고 프랑스의 Roquette FreresLycoat라는 상품명으로 완두콩 단백질 의약품용 코팅제를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2년 강릉대 식품과학과에서 명태를 이용한 단백질 필름 제조 연구를 시작으로 충남대 식품공학과의 막걸리 박(단백질 20% 함유) 및 옥수수 단백질 필름, 서울여대의 탈지 겨자씨 필름과 유청 단백질 필름을 이용한 적층필름, 그리고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도복미를 이용한 단백질 필름 제조 연구 등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봐서 연구 활동이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저자
Weida Shi, Marie-Josee Dumont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49()
잡지명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15~1930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