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들을 위한 식이요법 처방

전문가 제언

정상적인 임신과정 중 임신 3주기에서도 대사적인 압박과 지질, 당 항상성 교란(깨짐) 등이 나타난다. 특히 태아에게 충분한 당을 공급하기 위해 임신부 근육에서 인슐린의 당 저장을 못하도록 인슐린작용을 감소시켜 인슐린 저항을 일으킨다. β-세포의 기능장애 같은 대사적인 어려움을 견뎌낼 능력이 부족하거나 잘못되었음을 반영해 나타난 것이 바로 임신성 당뇨병이다. 때문에 대사적 어려움을 견뎌낼 능력을 갖춘 여성들은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거구증 신생아 수가 적고 임신성 당뇨병을 일시적 현상이라고 가볍게 보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는 프로그램도 개발되지 않았다.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임산부의 태아는 이미 자궁 속에서 고혈당이라는 부적절한 환경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태아의 발생, 베타-세포발생, 췌도 안의 혈관형성 등에 이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당뇨병 등의 질병이 발생하기도 쉽다. 이런 임신부들에게 약물치료와 식이요법, 운동요법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행해야 한다.

 

육체적 활동은 직?간접적으로 인슐린 감수성을 높여서 인슐린 의존적, 비 의존적인 방법으로 당 소비를 증가시켜서 혈당을 조절한다고 알려 졌다. 또 육체적 활동은 장기적으로 보면 지방량을 감소시켜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하여 2형 당뇨병 발병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킨다고 많은 연구결과로 확인했다.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들을 체 단백질이라 하며, 이 단백질들은 지속적으로 체내에서 생성, 소멸한다. 단백질 소멸은 단백질 분해로 아미노산으로 되면 소멸(배설)된다. 반면 나온 아미노산들이 단백질 합성에 재사용되지만 완벽히 재사용되지 않고 배설되어 체중이 줄게 된다. 부족한 단백질들을 음식섭취를 통해 공급하여 식이 단백질들로 채워져야 혈당 식이요법으로 발생하기 쉬운 태아의 저체중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자
Luciana Vercoza Viana, Jorge Luiz Gross, and Mirela Jobim Azeved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37()
잡지명
Diabetes Car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345~3355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