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태계에서 생물적 방제 향상을 위한 천적중재 먹이 종간 간접적 상호작용
- 전문가 제언
-
○ 복합 농업생태계에서 절지해충과 그들 천적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병해충 관리 프로그램에 필수이다. 생물학적 방제제와 같은 포식자의 먹이 공유에 관한 이론적인 예측은 명백한 경합에서의 상호 평형밀도를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생물학적 방제에서는 이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본고에서의 이상의 전제를 바탕으로 농업생태계에서 해충 간에 복합적인 간접 상호작용을 검토하여 명백한 경합에서 천적이 중재하는 간접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농장에서의 윤곽인자는 천적이 중재하는 간접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었으며,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천적 중재 상호작용 조절기술이 동정되었다.
○ 따라서 보전 생물학적 방제를 통하여 보다 양호한 농업생태학적 작물보호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방제와 공동체 생태계 이론 간의 관계를 보다 철저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농업생태계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할 방제방안이나 생물학적 방제에 적용할 천적 중재 간접상호작용의 잠재력을 향상시키는 몇 가지 연구라인이 본고에서 동정되었다.
○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식물병원성 곰팡이 Gibberella zeae의 생물학적 방제와 선택배지 개발을 비롯하여 길항세균을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및 원목 표고에서 아큐레이퍼 응애를 이용한 버섯 파리류의 생물학적 방제 등이 수행되어 친환경 농업에서의 병해충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 저자
- A. Chailleux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769~1779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