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소형 펜슬 연삭공구 제조용 데스크톱형 공작기계

전문가 제언

본문은 독일 Kaiserslautern대학 생산기술 연구진이 초소형 마이크로펜슬 연삭공구를 제조 응용하기 위한 모듈형 데스크탑 스케일의 공작기계 연구결과를 기술한 내용이다. 공작기계의 가공공정 사이에 제체결 과정 없이 공구의 중심점에 미치는 열 영향을 최소화기 위한 나노연삭센터(NGC)의 설계문제를 다루었다.

 

초소형 연삭시스템인 NGC는 산업적 응용을 위해 연삭 모듈, 공구최적화를 위한 마이크로 방전가공(μEDM) 모듈, 공구코팅용 전해 모듈, 응용모듈, 공정관찰용 카메라 모듈 등 5개의 모듈을 구성한다. 이 모듈들은 기계의 베드 위에 탑재되며, 일반 기계제어시스템이 모든 기능과 모듈을 포함하는 NGC를 제어하는 콤팩트한 데스크 탑형의 구조이다.

 

Kaiserslautern대학 연구진의 NGC 가공목표는 마이크로 펜슬 연삭공구 MPGT(micro pencil grinding tools)의 직경이 10㎛ 이하이다. 이미 개발한 NGC의 시연을 통해 5㎛의 연삭공구 가공을 성공적으로 실현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산업응용을 위해서는 초경합금, 강화강 등 가공소재에 대한 가공특성 분석이 더욱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반도체가공기술을 응용한 MEMS기술(미국), 마이크로시스템기술(유럽)의 실용화와, 1990년대 마이크로기계가공을 목표로 한 마이크로머신 기술개발(일본)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현재 MEMS기술은 많은 분야에서 실용화가 진행되는 추세이며, 기계가공과 조립분야의 마이크로머신은 최초로 개발프로젝트를 출범시킨 일본보다 독일에서 산업적 응용이 비교적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이크로팩토리 등 마이크로시스템 개발연구가 한국기계연구원을 비롯한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마이크로부품(카메라 렌즈모듈 등)의 조립시스템개발을 중심으로 국책연구프로젝트로 진행하여 요소기술을 축적해왔다. 본문에서 다룬 데스크탑 스케일의 가공시스템은 국내에서도 도전가치가 있는 새로운 마이크로 공작기계시스템으로서 산학연 연구진에서 검토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M. Walk, J. C. Auric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4
권(호)
14()
잡지명
Procedia CIRP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333~338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