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돈분 슬러리 소화액의 고형성분 퇴비화

전문가 제언

가축분뇨는 농지에 사용할 때에 작물 영양분공급과 농지에 토양개량효과 있는 자원이다. 가축분뇨처리와 이용과정에서 악취 및 산성화 원인물질이 되는 암모니아와 온실효과가스인 메탄과 아산화질소 등이 배출되어 문제가 된다. 가축분뇨처리의 대표적인 방식은 퇴비화처리와 액비화처리 등의 개방계처리로서 교반과 반전, 폭기, 저류 등의 처리단계에서 암모니아, 메탄 및 아산화질소 등이 배출되어 악취물질과 온실가스 감축대책이 필요하다.

 

가축분뇨 메탄발효시설의 장점은 밀폐계 처리 방식으로 처리단계 환경 부하물질 배출억제효과가 있고, 처리 후에 소화액은 비효성이 높다. 그러나 원료 유입조와 소화액저류조 등에의 부분적인 개방설비에서 메탄배출과 소화액살포단계에서 암모니아배출이 된다. 소화액은 액비로서 전작물 경지에 살포하거나 벼농사에서 관개수와 함께 혼합하여 공급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연간 가축분뇨 발생량은 4,500 만 톤이며 이 가운데 86%는 퇴비화 및 액비화 처리로서 재활용되어 왔고, 나머지는 정화방류 또는 해양투기 되어왔으나, 최근 가축분뇨 해양투기가 금지되어서 메탄발효처리시설 도입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발생되는 소화액을 경지 환원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소화액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UASB 메탄발효시설 도입해서 정화 처리한 뒤에 방류해야만 된다.

 

유우분뇨를 퇴비화방식, 고액분리방식(퇴비화 및 액비화) 및 메탄발효방식 등의 3가지 방식에서 LCA 도구를 사용한 지구온난화와 산성화 영향에 관한 환경영향평가 사례를 소개하면, 1년간 배출되는 젖소 100두를 분뇨처리와 포장에 환원단계에서 1)온실효과가스배출량은 퇴비화방식 346 t - CO₂ eq yr?¹, 고액분리방식 625 t - CO₂ eq yr?¹ 및 메탄발효방식 86 - 90 t - CO₂ eq yr?¹이였으며, 메탄발효방식이 퇴비화 및 고액분리방식보다 온실효과배출량이 75 - 80% 감축되었다. 2)산성화가스배출량은 퇴비화방식 10 t - SO₂ eq yr?¹, 고액분리방식 18 t - SO₂ eq yr?¹ 및 메탄발효방식 24 t - SO₂ eq yr?¹ 등으로서 비슷한 정도를 나타냈다. 암모니아는 퇴비화처리 단계에서 배출이 많으며, 메탄발효에서는 소화액 살포단계에서 많았다.


저자
Fulvia Tambone, Laura Terruzzi, Barbara Scaglia, Fabrizio Ada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5~61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