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취화동함유 DMSO용매를 이용한 귀금속?희소금속 회수방법개발

전문가 제언

금을 함유한 폐기물로부터 금을 회수하는 기술은 해체, 분쇄 및 분급과 같은 물리적 처리 등의 전처리기술, 고온용융, 건식정련, 전해정련 등의 건식제련 기술, 산?알칼리 침출 및 미생물침출과 분리정제, 전해 채취 등의 습식제련 기술이 개발되었다. 최근 전기?전자제품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금 함유 폐용액 발생량도 큰 증가추세에 있어서 국내 재활용 시장규모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기전자기기(WEEE) 중에 함유된 귀금속을 추출하는 기술을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이용된 기술은 입지 등의 제약이 있는 건식법과 왕수나 시안 등의 용출제를 사용하는 습식법의 독성과 고증기압으로 된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취화동을 용해한 디메틸술폭시드(DMSO) 중에서 Au를 용해한 다음 용매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용해한 Au를 석출하는 기술이다.

 

이에 소개된 DMSO 자체의 독성은 기존 연구에 이용되는 유기용매에 비해서 작기 때문에 취급하기 쉽고 또한 물과는 공비(azeotropy)하지 않는 것을 이용한 증류분리에 의해서 용매 재이용이 가능하다. 이때 폐액이 발생하지 않아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 후 기기에 이 시스템을 귀금속?희소금속을 회수할 때에는 목적 이외의 금속이 공존하므로 귀금속?희소금속의 용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폐금속자원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폐금속 자원재활용 대책(일명 : 숨은 금속자원 찾기 프로젝트)을 수립하여 2020년까지 폐금속 자원의 현재 재활용률(35.8%)을 75%까지 제고하여 무역역조 연 12.5억 달러 이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국에 방치된 폐자동차, 폐전기전자기기 등을 적정수단으로 회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어촌이나 산간오지의 폐기기류의 회수로 유용자원 회수뿐 아니라 환경보전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Akihiro Yoshimur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9(2)
잡지명
日本金屬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48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