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섬유생산:터키 섬유직물 제조공장의 사례 연구
- 전문가 제언
-
○ 지속가능한 생산은 기존 생산분야에서 지속가능발전 가치를 적용한 개념으로서 제품/서비스의 전생애주기에 걸쳐 자연자원과 유해물질의 사용 및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이기 위한 경제활동이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섬유생산: 터키 섬유직물 제조공장의 사례 연구” 주제 하에 다른 지속가능한 생산조치들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고 터키의 섬유직물 제조공장에 있어서 환경적, 경제적 편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과평가의 결과로 5개의 지속가능한 생산적용이 제안되고 물소비, 폐수, 에너지소비, 탄소배출과 소금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안된 지속가능한 생산조치들이 기술에 대한 큰 투자 없이도 터키섬유산업에서 엄청난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 것을 보인다. 더욱이, 경제적 수익이 저비용, 높은 품질과 환경친화적인 생산의 절박한 도전에 직면한 글로벌 섬유시장에서 터키섬유산업이 경쟁적 지위를 유지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된다.
○ 오늘날 지속가능한 생산이 국제사회의 주요의제로 등장하여 그 이행의 촉진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섬유산업에서 지속가능한 생산방법이 성공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생산은 지구공동체가 지속가능발전을 통해 동반성장을 하기 위한 필수요소가 되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주요국들은 지속가능한 생산을 위해 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둔 친환경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섬유대국인 중국에서는 환경보호강화가 섬유산업이 추구하는 목표가 되고 있다.
○ 우리나라 섬유산업분야는 품질관리 및 공정기술이 높은 수준이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면을 사용하며 유행과 패션시장이 발달해 있어 고부가가치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생산은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생산을 지향하는 지속가능경영의 확산이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생산체계의 확립을 위해 관련기술의 개발 및 확보와 관련 인프라에 대한 제도적 기반의 구축을 하는 데에 정책조치와 지원이 있어야 한다.
- 저자
- Emrah Alkay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65()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5~603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