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속가능공급망 관리의 실행을 위한 동인의 분석- 섬유사례

전문가 제언

공급망관리는 제품/서비스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하나의 통합망으로 관리하여 하나의 기업이 움직이는 것처럼 실질적 통합을 가능하게 만드는 경영시스템이며, 지속가능 공급망관리는 전통적인 공급망에서 환경친화적인 방법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 공급망관리의 실행을 위한 동인의 분석: 섬유사례”의 주제하에 해석적 구조화모델을 이용하여 인도의 5개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지속가능 공급망관리 실행의 영향력 있는 동인(Enabler)을 분석한다.

 

섬유산업에서 지속가능 공급망관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영향력 있는 동인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해석적 구조화모델에 의한 분석의 결과에서는 제안된 13개의 동인 중 안전기준의 도입, 친환경경영의 도입, 공동체 경제복지, 건강 및 안전이슈와 고용안전성의 5가지 동인이 영향력 있는 동인으로 산업의 경영활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안전관점 동인이 다른 동인과 비교할 때 추가적인 동기부여를 제공한다는 것이 제시된다.

 

오늘날 환경이슈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어 기업은 경영활동에서 지속가능성의 문제에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섬유산업의 지속가능공급망관리는 공급망을 시장상황에 맞도록 최적화하여 경영효율을 높이고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경영활동으로 지속가능발전을 확실하게 한다. 사회적 편익, 경제적 편익과 환경적 편익은 지속가능경영 3대요소로서 지속가능성은 그 개념이 되고 지속가능 발전기업은 이를 동시에 실현하는 기업이다.

 

지속가능 공급망관리는 기업이 고려해야 하는 동기유발활동을 발생시키고, 동인은 지속가능공 급망관리의 실현을 촉진하게 한다. 섬유산업에서 지속가능 3대요소가 동시에 실현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공급망이 지속가능 공급망관리로 전환되지 않으면 안 된다. 국내 섬유산업분야는 품질관리 및 공정기술 면에서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효율적인 공급망의 구축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앞으로 섬유업계는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규제대응을 위해 지속가능 공급망관리를 적극 도입하고 그 기반구축을 위한 정부의 정책조치와 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Ali Diaba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4
권(호)
83()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91~403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