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불지역의 지표유출과 토양유실 특성

전문가 제언

산불이 나면 토양과 산림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갑자기 변한다. 생물군이 감소하고 지표침식작용이 증가하는데, 보고에 의하면 이런 현상은 산불지역이 아닌 지역에 비하여 5배에 이른다. 산불지역의 표피토양은 산불발생 첫해에 대부분 침식, 유실된다. 그 후로도 토양침식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데 대부분은 10년 이내에 산불 이전의 지형모습을 되찾게 된다.

 

본 논문은 2005년 4월 이스라엘 Carmel산의 북쪽에 위치하는 Haifa시 남단에서 발생한 산불지역을 대상으로 지표유출과 토양유실 현상을 연구한 결과이다. 처음 연구지역은 표층으로부터 약 5~7cm 깊이까지 완전히 교란되어 있었다. 그런데 식생회복율이 첫 번째 해에는 26.6%, 두 번째 해에는 62.5%로 회복되었고 산불 이후 3년차 해에는 거의 산불 이전상황으로 회복되었다.

 

토양유실을 야기하는 인자는 강우, 지표유출, 강우지속시간, 30분간의 강우강도, 식생피복 등 5개로 확인되었다. 그중 토양유실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지표유출이었고 그 다음은 식생피복과 강우강도로 밝혀졌다. 한편 식생이 완전 회복되었더라도 토양유실 회복율은 완전치 않음이 확인되었다.

 

한국의 산불지역에서 토양침식량은 산불 당해년도에는 11.2배, 1년 경과 후에는 8.4배, 5년경과 후는 2배로 증가하고 10년 후에야 산불 이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침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강우량, 강우횟수, 누적강우량 등 강우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마호섭, 2008). 본 논문에서는 산불 후 3년차에 식생이 거의 회복되어 침식율도 산불 이전에 근접하고 침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강우강도로 확인하고 있다. 즉, 지표유출과 토양유실의 차이는 산불지역의 서로 다른 지형, 지질, 기후 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
Lea Wittenberg, Dan Malkinson, Ronel Barzila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21()
잡지명
CATENA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1~247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